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네트워크 :: 패킷 트레이서를 통한 NAT 실습 1) Public 구간은 11.22.33.64 /27을 서브넷팅하여 나온 최적의 서브넷 중 3개를 사용하여 OSPF로 라우팅 한다. 2 ) Private 네트워크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해야하며 B클래스의 사설 네트워크를 VLSM 하여 최적의 서브넷을 구한 후 사용한다. 3) 모든 PC는 자동으로 IP를 부여받는다. DHCP 서버의 위치는 R1과 R4(최대한 가까운곳으로 지정). 서버는 수동으로 IP를 입력한다. 4) 모든 Private 네트워크는 외부로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. 5) 모든 PC에서 웹서버로 접속이 가능해야한다. ●확인사항 pc A, B가 부여받은 아이피 확인 pc A에서 R4로 핑이 가는지 확인 pc B에서 R1로 핑이 가는지 확인 sol) 1. 첫 번째로 각 라우터마다 인터페이스 설정을 해.. 2023. 10. 2.
네트워크 ::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개념과 종류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는 직역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으로 IPv4의 주소 부족현상으로 인해 도입되었다. IPv4는 주소의 개수가 2^32(약 43억 개)이지만 전 세계 인구가 사용하는 기기들의 호스트 수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힘든 경지에 이르렀다. NAT는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이 가능하다. 따라서 NAT를 사용하면 IP 주소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. ● NAT의 장점 - 내부망의 주소가 외부망으로 갈때 라우터 + NAT로 IP가 변환이 되기 때문에 외부에 내부망 주소가 노출되지 않아 보안성이 좋다. - 내부망의 기기 주소들을 변경할때 굳이 외부망에 변경사항을 알릴 필요가 없다. -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다수와 함께 사용 가능하므로 공인.. 2023. 10. 1.
반응형